티스토리 뷰
중소벤처기업부는 6월 28일에 1분기 손실보상을 지급한다고 보도자료를 발표하였습니다. 대상은 95만개사이며 금액은 3.5조원이며, 6월 30일부터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지금부터 1분기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상 1분기 신청
[신청대상]
2022년 1분기 손실보상 대상은 ①2022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②집합금지, 영업시간 제한, 시설 인원제한 조치를 이행하여 ③경영상 심각한 손실이 발생한 ④「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으로서 연 매출액 30억원 이하인 사업자입니다.
2022년 1분기부터는 소상공인·소기업과 동일한 방역조치를 이행하여 손실이 발생한 중기업도 보상대상에 포함됩니다. 다만, 매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중기업에 손실보상금이 편중되지 않도록 연매출 30억원 이하 중기업에 한하여 보상금을 지급합니다.
[손실보상 신청 대상 확인하기]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신청하기, 신청결과 확인 등
xn--ob0bj71amzcca52h0a49u37n.kr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속보상 신청 일자]
6월 30일(목) 오전 9시부터 신청이 시작되며 첫 10일간은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를 기준으로 5부제를 운영합니다. 대상자에게는 요일별 문자를 통해 안내문자가 발송됩니다. 문자메시지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전용 누리집에서 본인이 신속보상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월 30일부터 10일 동안은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로 5부제 운영
6월 30일(목) : 0,5
7월 1일(금) : 1,6
7월 2일(토) : 2,7
7월 3일(일) : 3,8
7월 4일(월) : 4,9
7월 5일(화) : 0,5
7월 6일(수) : 1,6
7월 7일(목) : 2,7
7월 8일(금) : 3,8
7월 9일(토) : 4,9
7월 11일(월)부터는 오프라인 신청도 가능며 사업장 소재지 내 가까운 시, 군, 구청에 마련된 손실보상 전용 창구에 방문하면 됩니다.
오프라인 신청도 7월 11일(월)부터~7월 22일(금)까지 10일간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를 기준으로 홀짝제를 운영하니 일정에 맞춰 내방하시기 바랍니다.
[소상공인 확인요청 및 확인 보상 일정]
- 확인요청: 신속보상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 확인보상: 신속보상 금액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온라인은 7월 5일(화)부터, 오프라인은 7월 11일(월)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은 5일(화)부터 9일(토)까지 첫 5일간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를 기준으로 5부제를 적용하고, 오프라인 신청은 11일(월)부터 22일(금)까지 10일간 홀짝제로 운영됩니다.
[신청방법]
전용 누리집(소상공인손실보상.kr) 통해 신청
[소상공인 신청결과 바로가기]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신청하기, 신청결과 확인 등
xn--ob0bj71amzcca52h0a49u37n.kr
[산정방식]
보상금 산정방식은 코로나19 영향이 없었던 ①2019년 동월 대비 2022년 일평균 손실액에 ②방역조치 이행기간과 ③보정률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2021년 4분기와 동일한 산식이 적용됩니다. 온전한 손실보상을 위해 이전 분기 대비 보정률을 상향하고 하한액을 인상했습니다.
방역조치에 따라 직접적으로 발생한 피해를 산정하기 위한 보정률을 100%로 상향함으로써, 정부의 직접 방역조치를 이행한 소상공인들은 해당 기간에 발생한 손실을 전부 보상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분기별 하한액도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인상됐습니다.
[지급 시간]
00~07시 신청 시 오전 10시 지급
07~11시 신청 시 오후 14시 지급
11~16시 신청 시 오후 19시 지급
16~24시 신청 시 다음날 새벽 3시 지급
[손실보상 안내 영상]
[전화 문의]
-손실보상 전용 콜센터 (☎ 1533-3300, 평일 09~18시 운영)
-손실보상 전담창구 (평일 09~18시 운영)
* 각 시·군 구청 / 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
[온라인 문의]
-손실보상 홈페이지(소상공인손실보상.kr) 접속 후 '채팅상담' 선택 또는 채팅상담채널(손실보상114.kr) 직접 접속
*상담원 : 평일 09~18시 상담 / 챗봇 : 24시간 상담 가능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3 최저임금 실수령액 주휴수당 주급 월급 연봉 계산기
2023년 최저 임금이 올해보다 5.0% 오른 시간당 9620원으로 정해졌습니다. 최저 임금이 변경됨에 따라서 달라지는 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저임금 변천사 계산기 2023년 최저임금은 올해
pitlab.tistory.com
조정지역 해제 대구 세종 전남 여수 순천 광양
집값 상승 폭이 비교적 낮고 미분양 증가세가 뚜렷한 대구와 대전, 경남지역 6개 시군구에 대한 투기과열지구 지정이 해제되었습니다. 자세한 지역 및 조정지역 해제시 변경되는 점을 살펴보
pitlab.tistory.com
'도움정보 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용처 지역화폐 (0) | 2022.07.06 |
---|---|
긴급복지 지원금 긴급복지 지원제도 신청방법 (1) | 2022.07.05 |
2023 최저임금 실수령액 주휴수당 주급 월급 연봉 계산기 (0) | 2022.07.02 |
조정지역 해제 대구 세종 전남 여수 순천 광양 (0) | 2022.07.02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및 대상 소득조건 (0) | 2022.07.02 |